사이버박물관 : 3D가상체험관을 통해 박물관을 관람 할 수 있습니다.

제2전시실

> 전시실소개 > 민속 생활관

교 지(敎旨) - Royal Write of Appointment, 조선시대

가로 101, 세로 60

숙종 37년(1711년)에 가선대부행사간원대사간증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겸 영경연 홍문관 예문관춘추관 관상 감사 세자사 윤황 (嘉善大夫行司諫院大司諫贈 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 領議政 兼 領經筵 弘文館 藝文館 春秋館 觀象 監事 世子師 尹煌)에게 문정공(文正公)의 시호(諡號)를 내리면서 발급한 교지이다.

시 권(試券)- Examination Paper, 조선시대

가로 146.2, 세로 69.5

경상도 밀양(密陽)에 거주하는 박기상(朴璣庠)이라는 사람이 과거시험에 응시하여 제출한 시권(試券)이다. 시험문제는 요순지도 효제이이(堯舜之道 孝弟而已)이다. 문서의 첫부분에 쓰여진 일위(一爲)는 수험번호이며, 중간 부분에 붉은 글씨로 쓰여 있는 차하(次下)는 시험점수이다. 밑의 별지에는 본인의 나이와 본관 및 거주지, 그리고 4조(四祖)의 성명을 적도록 하였다. 채점할 때에는 부정을 방지하기 위해 이 별지를 떼어낸 후 채점을 하였다.

향 로(香爐) - Incence Burner, 조선시대

높이 17.5, 입지름 13.2

제사를 지낼 때 향을 피우기 위해 사용하는 분향기구(焚香器具)이다. 잘록한 눈사람처럼 생겼으며, 세 개의 다리가 전체를 받치고 서있다. 몸통에는 새·구름·꽃무늬가 새겨져 있고, 뚜껑에는 봉황문의 손잡이가 달려 있다.

경혈도(經穴圖) - Anatomical Chart for Acupuncture, 조선시대

가로 34, 세로 79

한방에서 침을 놓거나 뜸을 뜨는 자리인 경혈을 표시한 것으로 옆면, 뒷면, 앞면으로 구분하여 그려 놓았다. 조선시대 의원(醫院)에서 흔히 볼 수 있었던 것이다.

연 적(硯滴) - Water Droppers, 조선시대

높이 3.5, 지름 9.5 (원형 좌)
높이 4, 지름 9 (원형 우)

먹을 갈 때 쓸 물을 담아두는 용기이다. 여기에 있는 것은 무릎형·원형·사각형·어형의 연적으로 사각형 연적에는 산수화가 그려져 있다.

약연(藥? ) - Mortar for Grinding Herbs, 조선시대

높이 23.5, 너비 56, 폭 19

속이 V자 모양으로 패인 가늘고 긴 배모양의 기구로 한방에서 약의 재료를 갈아 가루로 만드는 데 사용하던 것이다. V자 모양의 홈에 약종을 넣고 축이 달린 연차를 굴려서 그 속의 약종을 가루로 만든다. 여기에 있는 것은 나무로 받침을 만든 후 그 위에 약연과 연차를 올려 놓은 것이다.

호패(號牌) - Personal Identification Tablets, 조선시대

길이 9.5~10.3

조선시대 16세 이상의 남자가 차고 다니던 호패는 현재의 신분증명서와 같은 것으로, 민정(民丁)의 수를 파악하고, 신분을 증명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호패에 기록하는 내용은 신분에 따라 다르나 관직·성명·거주지·직역(職役)·수염의 유무 등을 기록하였다. 호패는 본인이 죽었을 경우에 관가에 반납하였다.

진신(油鞋) - Rain Shoes, 조선시대

길이 28.5

비오는 날이나 흐린 날에 신던 가죽신으로 바닥에 징을 달아서 징신이라고 하며, 비오는 날(진날)에 신는 신이라고 하여 진신이라 한다. 여기에 있는 진신에는 비에 젖은 신발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신틀이 끼워져 있다.

패랭이(平凉子) - Bamboo Hat, 조선시대

높이 11.5, 지름 28

대나무를 가늘게 오려 만든 것으로 형태는 갓과 비슷하나 정수리 모양이 둥글며, 신분이 낮은 역졸·백정 등이 많이 썼다. 역졸들은 패랭이에 검은 칠을 하여 쓰고, 보부상들은 패랭이의 꼭지에 목화송이를 달고 다녔다. 갓이 양반들의 정관(正冠)이라면 패랭이는 상민이나 천민의 정관이었다.

혼천전도(渾天全圖) - Map of Heavens, 조선시대

지름 58.5

하늘의 별자리를 새긴 천문도(天文圖)이다. 둥근 원 안에 별자리를 새기고, 바깥 주위에는 절후(節候)를 표시하였다. 소나무에 채색을 하였으며, 위 아래에 장석을 대어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보관하도록 하였다.